연차휴가일수 계산 1분만에 확인하기
직장인에게 있어서 2가지에 행복을 뽑으라면 당연히 휴가와 월급일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한 해를 시작하기전 가장 먼저 확인하는것중에 하나가 올해에는 법정근로휴무일이 며칠인지 부터 확인합니다 이건 아마 오래된 직장인이든 취업한지 얼마 안된 새내기 직장인이든 다 비슷할것같습니다
법정근로일이 많으면 좋겠지만 없는달을 생각해서 주어진 연차내에서 사용을 해야합니다 연차는 근로기준법에 명시되어있는 사항이기때문에 고용주는 1년동안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게끔 명시되어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 1항) 따라서 1년동안 80% 이상 출근했을경우 15일에 유급휴가를 받을수있으며, 혹여 내가 1년이 되지않았더라도 한달 만근시 한개에 휴가를 받을수있기때문에 오늘은 지금 현재 기준으로 받을수 있는 유급휴가에 대해서 한번 계산해보겠습니다
연차휴가일수 계산 바로가기
연차를 계산할수있는 기본적인 방법은 일단 1년이 넘지 않았다면 한달만근시 1개에 연차휴가일수가 생기므로 1년이 되기전에는 최대 11일에 연차유급휴가가 발생이됩니다
근데 아마 연차휴가일수를 계산하실려고 하시는분들은 보통 1년이 넘었거나 몇년이상근무했을때 15개 이상 16~17개 그 이상 주어지는지가 궁금하실겁니다
오늘 가장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조회해볼수있는 사이트와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연차휴가일수 계산 사이트
거의 모든 직장인들이 다 알고있고 한번쯤은 접속해봤던 또한 취준생들이 많이 이용하고있는 사이트중에 하나인 사람인 사이트에서 간단하게 연차휴가일수를 계산해볼수있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사이트에서 어떻게 확인할수있는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는 포털 검색창에 사람인이라고 검색한 후 사이트에 접속해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사람인 사이트 메인페이지가 보이실거구요 원래는 메인페이지 상단에 기업연구소라는 부분이 있었고 그 기업연구소 버튼을 누른 후 좌측 메뉴탭에서 연차/휴가 계산기 버튼이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보시면 기업연구소 버튼이 상단에 보이지가않습니다 좌측 메뉴탭을 눌러봐도 보이지않고 오른쪽 자주사용하는탭에서조차 보이질 않고있습니다 그러면 어디서 연차계산기를 이용할수있을까요?
사이트 맨아래로 쭉 내려보시면 취업성공 도우미라는 탭이 있고 그아래에 쭉 글자수세기부터 연봉계산기, 퇴직금계산기 등 각종 계산할수있는 메뉴들이 보이실겁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우리가 확인할려고 하는 연차계산기 버튼을 눌러주시면됩니다
그러면 연차/휴가 계산기 화면이 보이고 본인이 입사한 날짜를 넣어주면 현시점까지 계산이 되어서 근무 일수와 햇수를 확인해볼수있습니다
그리고 제일 위에 총 며칠인지 까지 확인해볼수있습니다
정말 간단하지않나요?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기본적으로 계산을 해보는방법이고 그 아래에 안내멘트들을 보시면 회사의 회계연도에 따라 차이가 날수있다고 나와있습니다 이점은 감안해주셔야합니다
그리고 본 계산기는 1일도 사용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총 연차일수가 나오는 거기 때문에 저 일수에서 여태까지 본인이 사용한 일수를 제외한다면 남은 일수를 계산해볼수있습니다
또한 1년 미만 근무시에는 1개월 개근시 유급휴가 1일씩 부여되고, 3년이상 계속 근무시에는 최초 1년을 초과하는 매 2년에 대하여 유급휴가 1일을 가산한다고 되어있습니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예를 들어 내가 입사한지 3년이 넘어가면 총 유급휴가에서 1일을 가산할수있다는겁니다
화면으로 보시면 이해가 조금 더 빠르실겁니다 이렇게 3년차 이상부터는 총 연차/휴가 일수가 16일 인걸 볼수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매 2년에 대하여 유급휴가 1일을 가산하는 방식입니다
어떤가요? 제가 알려드린 방법대로만 하면 누구나 1분만에 사람인 사이트에 접속해서 본인에 연차휴가일수를 확인해볼수있습니다 물론 사람인에서 연차/휴가일수 계산하는 방식은 모의계산이며, 회사마다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수있기때문에 보다 더 확실한 방법은 회사에서 따로 쓰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해 보는게 더 정확할수있습니다 ex) 이카운트
참고하면 좋은글
https://toong06.tistory.com/62
https://toong06.tistory.com/56
https://toong06.tistory.com/57